공부창고

반응형

평가 개요

 

시행 목적

국가수준의 학업성취 수준 파악 및 추이 분석을 통한 학교교육의 성과 점검 교육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확보

 

평가 개요

시행일 : [2]’20. 11. 25.(), [3]’20. 11. 26.()

평가 대상 :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중 표집학급 학생

32 전체 학생(771,563)의 약 3%, 21,179(424)

표집 대상 학교 : 전체 중학교, 일반고, 자율고, 특수목적고, 특성화고(대안계열)

일반고 직업과정반,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제외(직업기초능력평가 적용)

평가 교과 및 범위

학년 교과 평가 범위 시간
3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12학년 전 과정, 3학년 1학기 과정 교과별 45
2 국어, 수학, 영어 (국어영어) 범교과 소재, (수학) 고등학교 수학과목 교과별 50

학교생활 행복도, 교과기반 정의적 특성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 병행

 

결과 통지

교과별 성취수준*(4단계)과 교과 내용영역 및 교과역량별 성취율(%) 및 상세 정보, 교과기반 정의적 영역 특성(흥미, 자신감 등)

성취수준 일반적인 특성
4수준 평가 대상 학년의 학생들이 도달하기를 기대하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거의 모든 부분을 이해하고 수행한다.
3수준 평가 대상 학년의 학생들이 도달하기를 기대하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상당 부분 이해하고 수행한다.
2수준 평가 대상 학년의 학생들이 도달하기를 기대하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수행한다.
1수준 평가 대상 학년의 학생들이 도달하기를 기대하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이해하고 수행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 기준에 따라 교과별 세부 성취수준은 구체적으로 별도 제시, ‘4수준1수준으로 평어 개선*

* (기존) 우수, 보통, 기초, 기초학력 미달 (개선) 4, 3, 2, 1수준 (’19. 고교 적용 ’20. 3까지 적용)


성취 수준 분석 결과

 

1. 교과별 성취수준

 

전년 대비, 중학교 수학의 학업성취도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나, 중학교 국어, 영어1수준 비율은 증가하였고, 고등학교 모든 교과1수준 비율 역시 증가하였음

 

(3수준 이상) 중학교 국어영어는 각각 75.4%, 63.9%로 전년 대비 7.5%p, 8.7%p 감소, 고등학교 국어69.8%로 전년 대비 7.7%p 감소

중학교 수학, 고등학교 수학, 영어에서의 전년 대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1수준) 중학교 국어영어는 각각 6.4%, 7.1%로 전년 대비 2.3%p, 3.8%p 증가, 고등학교 국어, 수학, 영어는 각각 6.8%, 13.5%, 8.6%로 전년 대비 2.8%p, 4.5%p, 5.0%p 증가

중학교 수학에서의 전년 대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교과별 성취수준 비율(%)>

 

2. 성별 성취수준

 

전반적으로 국어, 영어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높음

 

(3수준 이상) 고등학교 모두 국어, 영어에여학생의 비율이 남학생에 비해 높음

, 고등학교 모두 수학에서는 성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성별 3수준(보통학력) 이상 비율(%)>

 

(1수준) 고등학교 모든 교과에서 남학생의 비율이 여학생에 비해 높음

<성별 1수준(기초학력 미달) 비율(%)>

 

3. 지역규모별 성취수준

 

고등학교는 지역규모별 학업성취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중학교는 전반적으로 지역규모별 차이가 나타남

 

(3수준 이상) 중학교 모든 교과에서 대도시의 비율이 읍면지역에 비해 높음

, 고등학교에서는 모든 교과에서 지역규모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 지역규모별 ‘3수준(보통학력) 이상’ 비율(%) >

 

(1수준) 중학교 국어, 수학에서 읍면지역의 비율이 대도시에 비해 높음

, 중학교 영어, 고등학교 모든 교과는 지역규모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

< 지역규모별 ‘1수준(기초학력 미달)’ 비율(%) >

 


정의적 특성 및 코로나19 관련 분석 결과

 

1. 학교생활 행복도

 

고등학교 모두 학교생활 행복도가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하였음

 

(목적)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교육맥락변인을 분석하여 교육정책 수립의 시사점 도출

(방법) ’13년부터 매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시행

높음비율은 개별 문항의 응답을 점수로 환산(매우그렇지않다=0, 그렇지않다=1, 그렇다=2, 매우그렇다=3)하여 구한 평균값 중 2 이상의 비율(설문 문항 15쪽 참조)

(결과) 학교생활 행복도의 높음비율은 중학교 59.5%, 고등학교 61.2%’19년에 비해 각각 4.9%p, 3.5%p 감소하였으나, ’13년에 비해서는 각각 15.9%p, 20.8%p 증가함

- (학교급별) ’13에는 중학교 비해 고등학교 학교생활 행복도의 높음비율이 낮은 편이었으나, 이후 고등학교의 지속적인 증가‘18년 이후 중학교와 유사한 수준을 이루었고, ’20에도 고등학교 각각 59.5%, 61.2%로 유사한 수준임

 

< ’13~’20년 학교생활 행복도 ‘높음’ 비율(%) >

 

< 학교생활 행복도 비율(%) >

 

학교생활 행복도 세부 항목별 결과

- (심리 적응도) 심리 적응도의 높음비율은 중학교 75.7%, 고등학교 76.0%’19년에 비해 각각 2.3%p, 2.0%p 감소하였으나, ’13년에 비해서는 각각 7.2%p, 12.0%p 증가

- (교육환경 만족도) 교육환경 만족도의 높음비율은 중학교 51.2%, 고등학교 53.8%’19년에 비해 각각 5.6%p, 2.8%p 감소하였으나, ’13년에 비해서는 각각 15.7%p, 18.9%p 증가

 

< ’13∼’20년 심리 적응도 ‘높음’ 비율(%) >
< ’13∼’20년 교육환경 만족도 ‘높음’ 비율(%) >

 

학교생활 행복도 세부 문항별 응답 결과

세부 문항별 응답 결과는 각 문항 당 긍정 응답(그렇다, 매우그렇다) 비율

 

 

2. 교과기반 정의적 특성

 

고등학교 모든 교과에서 자신감, 흥미보다 가치와 학습의욕이 높고 성취수준 차이에 따라 정의적 특성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남

 

(목적) 교과별 학업성취도교과기반 정의적 특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교육정책 수립시사점 제공

경과 : ’17년 수학교과 시범 적용, ’18년부터 모든 교과 확대 실시

(방법) 자신감, 가치, 흥미, 학습의욕에 대한 설문조사

높음비율은 개별 문항의 응답을 점수로 환산(매우 그렇지 않다=0, 그렇지 않다=1, 그렇다=2, 매우 그렇다=3)하여 구한 평균값 중 2점 이상의 비율(설문 문항 1617쪽 참조)

(결과) ’19년 대비 ’20년에 고등학교에서 전반적으로 높음비율은 감소, 낮음비율은 증가 경향이 나타남

 

<’19년∼’20년 교과 정의적 특성 ‘높음’ 추이(%)>

 

성취수준별 교과기반 정의적 특성

- (성취수준별) 3수준 이상의 학생이 1수준 학생보다 교과기반 정의적 특성이 높게 나타남

- (세부 항목별) 전반적으로 학습의욕에서 성취수준별 비율 차이가 비교적 크게 나타남

- (교과별) 수학 교과의 경우, 흥미와 학습의욕의 성취수준별 비율의 차이가 다른 교과에 비해 크게 나타남

 

< ‘20년 성취수준별 교과기반 정의적 특성 비율(%) >

반응형
donaricano-btn donaricano-btn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