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강태중)은 8월 11일(수) 15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화상 회의실에서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교육 주체의 인식조사 결과 논의를 위한 세미나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 본 세미나에서는 고교학점제 도입과 관련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 시·도교육청, 대학 등 제 분야 전문가들과의 논의를 통해 고교학점제 정책 방향을 점검하고 고교학점제 현장 안착에 대한 발전적 대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 고등학교 학생(984명), 학부모(1,205명), 교사(1,427명)를 대상으로 2021년 6월에 실시한 주요 설문 결과를 보면, 학생 83.6%, 학부모 81.2%, 교사 77.5%가 고교학점제 도입 취지에 공감한다고 응답하였고, 학생 81.6%, 학부모 77.3%가 학교 밖 전문가의 필요성에 공감한 데 비해 교사 42.9%만 공감한다고 응답하여 교육 주체 간 차이도 나타났다.(붙임 2)
□ 주제발표1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 조사’ 를 통해 고교학점제 정책 인식, 고교학점제 취지 공감, 고교학점제 정책 안내, 고교학점제 보완 사항, 공통과목과 선택과목 비중, 학교 밖 전문가 참여, 고교학점제 기대 및 우려 사항,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한 중점 과제 등에 대한 교육 주체들의 인식을 살핌으로써, 고교학점제 정책 방향에 대해 점검하고 이에 따른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 주제발표2 ‘고교학점제 부분 도입 방안 탐색을 위한 교사의 인식 조사’를 통해 총 이수 단위 적정화, 학기 단위 과목 편성 및 진로집중학기 운영, 학교 밖 교육의 학점 인정, 성취평가제 기반 강화, 책임교육 강화, 교원 업무 경감 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핌으로써, 고교학점제가 현장 안착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탐색할 예정이다.
□ 평가원 관계자는 이번 인식 조사 결과 발표가 고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중간 점검이자 향후 발전적 논의를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고교학점제 정책이 현장에 안착하는 데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주제: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교육 주체의 인식조사 결과 논의
□ 일시 및 장소: 2021. 8. 11.(수) 15:00-17:2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6회의실(온라인)
일시 | 내용 | 비고 |
15:00~15:10 | 개회 및 안내 인사말씀 |
사회: 노은희 인사말: 한혜정(교육과정교과서본부장) |
15:10~15:30 | 주제 발표 1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 조사 |
주제 발표1: 민용성 주제 발표2: 전호재 |
15:30~15:50 | 주제 발표 2 고교학점제 부분 도입 방안 탐색을 위한 교사의 인식 조사 |
|
15:50~16:20 | 주제 발표 1에 대한 토론 토론1: 이정훈(청원고) 토론2: 신상철(경남교육청) 토론3: 박창언(부산대) |
토론자(각 10분) |
16:20~16:30 | 휴식 | |
16:30~17:00 | 주제 발표 2에 대한 토론 토론1: 정유훈(제주 대정고) 토론2: 박광균(인천교육청) 토론3: 이재덕(한국교원대) |
토론자(각 10분) |
17:00~17:20 | 종합 토론 | |
17:20 | 폐회 |
□ 조사 개요
◦ (대상) 고등학교* 학생 984명, 학부모 1,205명, 교사 1,427명 총 3,616명
*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801교(56.1%), 일반고 626교(43.9%) / ’21년 기준으로 전체 일반계고의 55.8%가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939교/1,680교)
◦ (기간‧방식) ’21. 6. 16(수)~28(월), 13일간 / 온라인 설문
◦ (구성) 고교학점제 정책 방향(공통질문) + 부분 도입 방안(교사질문)
□ 고교학점제 정책 방향에 대한 설문 결과(학생‧학부모‧교사 대상)
① 고교학점제 정책 전반
◦ (정책 인지도) 학생 73.9%, 학부모 72.6%, 교사 96.3% 고교학점제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잘 알고 있다 + 알고 있는 편이다)
◦ (정책 공감대) 학생 83.6%, 학부모 81.2%, 교사 77.5% 고교학점제 도입 취지에 공감한다고 응답(매우 공감한다 + 공감한다)
◦ (정책 안내) 학생 17.6%, 학부모 12.9%, 교사 21.4%만이 학점제에 대한 안내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응답
- 정책 안내에 있어 보완할 점으로 학생(32.9%), 교사(37.7%)는 ‘고교학점제 제도와 운영에 대한 이해도 제고’라고 응답한 반면, 학부모(34.0%)는 ‘진로탐색‧결정을 위한 상담 강화’라고 응답
② 고교학점제에서 공통 및 선택과목의 비중
◦ 학생 54.8%, 학부모 56.0%가 현행 교육과정보다 선택과목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교사의 경우 46.5%가 현행보다 모든 학생이 듣는 공통과목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응답
※ ‘공통‧선택과목 비중 현행처럼 유지’ 응답 : 학생 25.6%, 학부모 13.9%, 교사 33.8%
③ 학교 밖 전문가의 필요성
◦ 학생 81.6%, 학부모 77.3%가 학교 밖 전문가의 필요성에 공감한다고 응답한 반면(매우 공감한다 + 공감한다), 교사는 42.9%만이 공감
- 학교 밖 전문가의 참여 형태에 대해 전체 교사의 47.9%가 전문성이 인정된 사람(예:박사+교육경력)에 한해 단독 수업‧평가를 허용해야 한다고 응답
※ 두 번째로 많은 응답은 교사 자격 미소지자는 코티칭만 허용하는 현행방식 유지(43.7%)
④ 고교학점제에 대한 기대와 우려
◦ (기대효과) 학생(61.2%), 학부모(53.5%), 교사(64.5%)가 ‘학생의 적성 및 진로에 맞는 다양한 과목 수강’이 가장 기대된다고 응답
※ 두 번째로 많은 응답은 ‘수업 흥미도‧참여도 증가’(학생 25.9% 학부모 33.4% 교사 24.2%)
◦ (우려사항) 학생(30.1%), 학부모(28.0%)는 학점제 도입시 우려되는 점으로 ‘진로 결정 및 과목 선택에 대한 부담’이라 응답한 반면,
- 교사는 38.5%가 ‘학교교육 방식과 대입제도의 불일치’를 우려
※ 학교교육과 대입제도의 불일치가 우려된다는 응답 비율은 학생(19.7%), 학부모(26.5%)
◦ (향후 과제) 향후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한 중점 추진과제로는, 학생(28.1%), 학부모(32.3%)는 ‘진로‧적성‧진학지도에 대한 학교의 전문성 함양’을 꼽은 반면,
- 교사(32.2%)는 ‘다양한 과목을 개설할 수 있는 교‧강사 확보’라 응답
□ 고교학점제 부분 도입(’22~’24) 방안에 대한 설문 결과(교사 대상)
① 학점제형 학사제도 적용
◦ (단위에서 학점으로 전환) 고교학점제 부분도입기에 고등학교 수업량 기준을 ‘단위에서 학점으로 전환’하는 방안에 대해 75.6% 찬성
※ 단위의 학점 전환 반대(24.4%) 이유 : 학교의 혼란 우려, ’25년부터 적용이 적절
◦ (총 이수학점 적정화) 고교학점제 부분도입기에 고등학교의 총 이수학점을 ‘현행 204단위에서 192학점으로 조정’하는 방안에 대해 85.5% 찬성
※ 총 이수학점 적정화를 반대(14.5%)하는 경우 대안으로는 192~204 범위에서 학교가 자율 결정(46.4%), 현행 204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35.7%)하다고 응답
② 책임교육 강화
◦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 학점제 부분도입기에 일부 과목에 대한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실시할 필요성에 대해 77.8%가 동의(매우 동의한다+동의한다)
◦ (적용 과목)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 과목으로는 ‘공통과목 중 국어‧영어‧수학’이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음(30.9%)
※ 그 외에 ‘공통과목 중 국영수사과’(27.9%), ‘국영수 공통과목 + 일반선택과목’(22.9%) 응답
◦ (적용 학교)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실시할 경우, 대상 학교의 범위로 ‘전체 고교에 권장하되,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에는 의무 실시’하는 방안을 가장 많이 응답(37.4%)
※ 그 외에 연구학교에만 의무 실시(29.8%), 연구‧선도학교에만 의무 실시(18.2%) 응답
◦ (지원 사항) 최소 학업성취수준 도달 지도를 위해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사항으로는 ‘별도의 교‧강사 지원’(38%), ‘최소 학업성취수준 관련 준거 개발 및 제공’(26.1%)순으로 응답
③ 교원 업무 경감
◦ (증가한 업무) 학생 선택형 교육으로 인해 가장 많이 증가한 업무는 ‘다과목 지도를 위한 수업‧ 자료 준비’라는 응답이 가장 많음(73.9%)
※ 그 외에 ‘고교학점제 관련 각종 연수 참여’(8.3%), ‘학교 및 학년업무 처리’(8.3%) 응답
◦ (지원 사항) 업무 경감을 위한 지원책으로 ‘정규교원 수급 확대’(29.6%), ‘시도교육청 주관 강사 인력풀 관리 및 수급’(23.2%) 순으로 응답
※ 그 외에 ‘업무 일부를 교육청으로 이관’(16.7%), ‘행정지원인력 배치 확대’(16.5%) 응답
[평가원]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 (0) | 2021.09.08 |
---|---|
[평가원]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 실시 내용과 일정(온라인 참여 요령 포함) (0) | 2021.08.31 |
[대한민국학술원] 2021년 올해의 우수학술도서 선정 목록 (0) | 2021.07.21 |
[평가원]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세부계획 공고 (0) | 2021.07.08 |
[평가원]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 시행계획(시간표, 출제범위, 연계교재 포함) (0) | 2021.06.29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