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창고

반응형

한국교육과정평가원(원장 강태중)811() 15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화상 회의실에서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교육 주체의 인식조사 결과 논의를 위한 세미나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본 세미나에서는 고교학점제 도입과 관련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 ·도교육청, 대학 등 제 분야 전문가들과의 논의를 통해 고교학점제 정책 방향을 점검하고 고교학점제 현장 안착에 대한 발전적 대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고등학교 학생(984), 학부모(1,205), 교사(1,427)를 대상으로 2021 6에 실시한 주요 설문 결과를 보면, 학생 83.6%, 학부모 81.2%, 교사 77.5%가 고교학점제 도입 취지에 공감한다고 응답하였고, 학생 81.6%, 학부모 77.3%학교 밖 전문가의 필요성에 공감한 데 비해 교사 42.9%만 공감한다고 응답하여 교육 주체 간 차이도 나타났다.(붙임 2)

 

주제발표1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 조사 통해 고교학점제 정책 인식, 고교학점제 취지 공감, 고교학점제 정책 안내, 고교학점제 보완 사항, 공통과목과 선택과목 비중, 학교 밖 전문가 참여, 고교학점제 기대 및 우려 사항,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한 중점 과제 등에 대한 교육 주체들의 인식을 살핌으로써, 고교학점제 정책 방향에 대해 점검하고 이에 따른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주제발표2 ‘고교학점제 부분 도입 방안 탐색을 위한 교사의 인식 조사 통해 총 이수 단위 적정화, 학기 단위 과목 편성 및 진로집중학기 운영, 학교 밖 교육의 학점 인정, 성취평가제 기반 강화, 책임교육 강화, 교원 업무 경감 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핌으로써, 고교학점제가 현장 안착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탐색할 예정이다.

 

평가원 관계자는 이번 인식 조사 결과 발표가 고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중간 점검이자 향후 발전적 논의를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고교학점제 정책이 현장에 안착하는 데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고교학점제 도입 방안 세미나 개최 일정표>

주제: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교육 주체의 인식조사 결과 논의

일시 및 장소: 2021. 8. 11.() 15:00-17:2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6회의실(온라인)

일시 내용 비고
15:00~15:10 개회 및 안내
인사말씀
사회: 노은희
인사말: 한혜정(교육과정교과서본부장)
15:10~15:30 주제 발표 1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 조사
주제 발표1: 민용성
주제 발표2: 전호재
15:30~15:50 주제 발표 2
고교학점제 부분 도입 방안 탐색을 위한 교사의 인식 조사
15:50~16:20 주제 발표 1에 대한 토론
토론1: 이정훈(청원고)
토론2: 신상철(경남교육청)
토론3: 박창언(부산대)
토론자(10)
16:20~16:30 휴식
16:30~17:00 주제 발표 2에 대한 토론
토론1: 정유훈(제주 대정고)
토론2: 박광균(인천교육청)
토론3: 이재덕(한국교원대)
토론자(10)
17:00~17:20 종합 토론
17:20 폐회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 인식 조사 주요 결과>

조사 개요

(대상) 고등학교* 학생 984, 학부모 1,205, 교사 1,427명 총 3,616

*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801(56.1%), 일반고 626(43.9%) / ’21년 기준으로 전체 일반계고의 55.8%가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939/1,680)

(기간방식) ’21. 6. 16()~28(), 13일간 / 온라인 설문

(구성) 고교학점제 정책 방향(공통질문) + 부분 도입 방안(교사질문)

 

고교학점제 정책 방향에 대한 설문 결과(학생학부모교사 대상)

고교학점제 정책 전반

(정책 인지도) 학생 73.9%, 학부모 72.6%, 교사 96.3% 고교학점제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잘 알고 있다 + 알고 있는 편이다)

(정책 공감대) 학생 83.6%, 학부모 81.2%, 교사 77.5% 고교학점제 도입 취지에 공감한다고 응답(매우 공감한다 + 공감한다)

(정책 안내) 학생 17.6%, 학부모 12.9%, 교사 21.4%만이 학점제에 대한 안내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응답

- 정책 안내에 있어 보완할 점으로 학생(32.9%), 교사(37.7%)교학점제 제도와 운영에 대한 이해도 제고라고 응답한 반면, 학부모(34.0%)진로탐색결정을 위한 상담 강화라고 응답

 

고교학점제에서 공통 및 선택과목의 비중

학생 54.8%, 학부모 56.0%가 현행 교육과정보다 선택과목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교사의 경우 46.5%가 현행보다 모든 학생이 듣는 공통과목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응답

공통선택과목 비중 현행처럼 유지응답 : 학생 25.6%, 학부모 13.9%, 교사 33.8%

 

학교 밖 전문가의 필요성

학생 81.6%, 학부모 77.3%가 학교 밖 전문가의 필요성에 공감한다고 응답한 반면(매우 공감한다 + 공감한다), 교사는 42.9%만이 공감

- 학교 밖 전문가의 참여 형태에 대해 전체 교사의 47.9%가 전문성이 인정된 사람(:박사+교육경력)에 한해 단독 수업평가를 허용해야 한다고 응답

두 번째로 많은 응답은 교사 자격 미소지자는 코티칭만 허용하는 현행방식 유지(43.7%)

 

고교학점제에 대한 기대와 우려

(기대효과) 학생(61.2%), 학부모(53.5%), 교사(64.5%) 학생의 및 진로에 맞는 다양한 과목 수강이 가장 기대된다고 응답

두 번째로 많은 응답은 수업 흥미도참여도 증가’(학생 25.9% 학부모 33.4% 교사 24.2%)

(우려사항) 학생(30.1%), 학부모(28.0%)는 학점제 도입시 우려되는 점으 진로 결정 및 과목 선택에 대한 부담이라 응답한 반면,

- 교사는 38.5%학교교육 방식과 대입제도의 불일치 우려

학교교육과 대입제도의 불일치가 우려된다는 응답 비율은 학생(19.7%), 학부모(26.5%)

(향후 과제) 향후 고교학점제 안착을 위한 중점 추진과제로는, 학생(28.1%), 학부모(32.3%)진로적성진학지도에 대한 학교의 전문성 함양을 꼽은 반면,

- 교사(32.2%)다양한 과목을 개설할 수 있는 교강사 확보라 응답

 

고교학점제 부분 도입(’22~’24) 방안에 대한 설문 결과(교사 대상)

학점제형 학사제도 적용

(단위에서 학점으로 전환) 고교학점제 부분도입기에 고등학교 수업량 기준을 단위에서 학점으로 전환하는 방안에 대해 75.6% 찬성

단위의 학점 전환 반대(24.4%) 이유 : 학교의 혼란 우려, ’25년부터 적용이 적절

(총 이수학점 적정화) 고교학점제 부분도입기에 고등학교의 총 이수학점을 204단위에서 192학점으로 조정하는 방안에 대해 85.5% 찬성

총 이수학점 적정화를 반대(14.5%)하는 경우 대안으로는 192~204 범위에서 학교가 자율 결정(46.4%), 현행 204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35.7%)하다고 응답

 

책임교육 강화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 학점제 부분도입기에 일부 과목에 대한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실시할 필요성에 대해 77.8%가 동의(매우 동의한다+동의한다)

(적용 과목)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 과목으로는 공통과목 중 국어영어수학이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음(30.9%)

그 외에 공통과목 중 국영수사과’(27.9%), ‘국영수 공통과목 + 일반선택과목’(22.9%) 응답

(적용 학교)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 지도를 실시할 경우, 대상 학교의 범위로 전체 고교에 권장하되,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에는 의 실시하는 방안을 가장 많이 응답(37.4%)

그 외에 연구학교에만 의무 실시(29.8%), 연구선도학교에만 의무 실시(18.2%) 응답

(지원 사항) 최소 학업성취수준 도달 지도를 위해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사항으로는 별도의 교강사 지원(38%), ‘최소 학업성취수준 관련 준거 개발 및 제공(26.1%)순으로 응답

 

교원 업무 경감

(증가한 업무) 학생 선택형 교육으로 인해 가장 많이 증가한 업무는 다과목 지도를 위한 수업자료 준비라는 응답이 가장 많음(73.9%)

그 외에 고교학점제 관련 각종 연수 참여’(8.3%), ‘학교 및 학년업무 처리’(8.3%) 응답

(지원 사항) 업무 경감을 위한 지원책으로 정규교원 수급 확대(29.6%), 시도교육청 주관 강사 인력풀 관리 및 수급(23.2%) 순으로 응답

그 외에 업무 일부를 교육청으로 이관’(16.7%), ‘행정지원인력 배치 확대’(16.5%) 응답

반응형
donaricano-btn donaricano-btn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