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창고

반응형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관계부처 및 비수도권 14개 시도와 합동으로 수립한 2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021~2025)’(이하 지방대학 육성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

ㅇ 이번 방안은 지방대육성법5조에 따라 매 5년마다 수립되는 법정 기본계획으로서, 지난 217()에 개최한 13차 지방대학 및 지역인재 육성지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되었다.

* 지방대육성법9조에 따라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관계부처 차관급 공무원과 지자체장, 대학 총장, 전문가 등 총 20명으로 구성

ㅇ 제2차 기본계획은 지역인재 유출 및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여, 인구유출을 막는 으로서의 지역 협업시스템 구축과 그 핵심 으로서의 지방대 역할을 재정립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ㅇ 이를 위해 대학과 지역, 미래를 여는 혁신 공동체라는 비전을 가지고 지방대학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혁신’, ‘지역인재 정착 위한 지역 혁신’, ‘지역혁신주체 간 협업 촉진이라는 세 가지 정책의 틀을 바탕으로 주요 과제를 설정하였다.

 

지방대 육성계획 기본 방향

 

시도별 지방대 육성 주요계획

 

부산

광역시

대학혁신

해외 유학생 유치를 위한 아세안 유학생 융복합 거점센터 건립 50+ 생애재설계대학, 노인대학 등 평생교육 거버넌스 구축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 창의적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융합전공 운영 및 전용 강의실 구축 추진 및 블록체인 대학 ICT 연구센터 운영을 통한 석사급 핵심인력 양성

지역혁신

해운항만물류 분야 훈련 및 산학연계 인턴십 운영, FAO 세계수산대학 설립 등을 지원하여 해양신산업 육성 지원

학 내 영상영화교육 확대 및 지식기반서비스 인력양성을 위한 부산아시아 영화학교 운영 에코델타 지식산업센터 건립

협 업

지역혁신성장계획 공동 수행을 위한 지역혁신선도센터를 지원하고 대학의 지역사회 상생협력 지원사업 등 추진

지역혁신비전전략 제시, 주체 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공유대학 플랫폼 운영하고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사업 등 추진

대구

광역시

대학혁신

‘(가칭) 대구 글로벌 인재양성 센터를 통해 지역대학의 유학생 유치를 지원하고 대구 행복기숙사를 건립하여 안정적인 주거복지 지원

지역특화산업 해외진출을 선도하는 인재 양성을 위한 지역특화 청년무역전문가 양성 해외산업체 맞춤형 청해진대학지원

지역혁신

로봇, , 미래형 자동차 등 미래신산업 분야 기업맞춤형 혁신대학 운영(HuStar) 및 혁신 아카데미 운영

대학-청소년 멘토멘티 매칭 꿈나눔 멘토링 및 우리마을 교육 나눔사업, 대학생과 연계한 청소년 지역사회 봉사활동 등 지원

협 업

자체-지역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사업 추진을 위한 지역협력위원회 구성운영

주체 간 협력을 통해 지역현안을 해결하는 대학-기업 연계 대학육성사업 추진

광주

광역시

대학혁신

대학-지자체-공공기관 협력 수요 맞춤형 융복합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ICT, 미래에너지, 도시재생, 농생명 분야 맞춤형 인재 양성

인공지능 대학원지원을 통해 3대 특화분야(헬스케어,자동차,에너지) 집중 AI 융합인재 육성을 위한 석박사 통합과정 운영

지역혁신

에너지 신산업분야 및 ICT 소프트웨어 융복합 분야에 대한 이론 현장 교육 운영을 통해 전문 인력 양성

지역의 미취업 청년에게 다양한 일 경험을 제공하는 광주 청년 일경험드림 운영 및 공유재산활용 사회실험 청년창업지원 추진

협 업

광주-전남지역 지자체-대학협력기반 지역혁신주체간 상생 플랫폼 구축 운영을 통해 핵심산업분야(에너지신산업, 미래형 운송기기) 교육혁신 및 지역 맞춤형 인재양성 추진

대전

광역시

대학혁신

대학과 대덕특구(출연연)의 우수한 융합 연구역량을 활용하여 대전형 창업 특화거리인 대전 스타트업 파크조성

바이오건강분야 연구역량 강화 및 차세대 치료제 개발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지원을 위해 기초의과학연구센터(MRC)’ 지원

지역혁신

지역 대학생들에게 중소기업, 연구소기업, 벤처기업 등에서 직무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대전형 코업(CO-OP) 청년 뉴리더 양성 추진

국방 ICT 융합산업과 연계한 국방 R&D 인력 양성을 위해 국방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벤처기업 육성 및 기술개발 등 지원

협 업

대전 관내 대학 간 연합교양대학을 운영하여 교양과목 공동 개설 및 학점교류 추진

다양한 청년들의 시정 참여와 소통으로 청년 주도 정책 발굴 및 반영을 위한 대전 청년 네트워크(대청넷) 운영

울산

광역시

대학혁신

대학의 우수한 인력시설을 활용한 베이비부모 은퇴자 평생학습 지원(울산 지역학, 울산 아카데미, 인문예술학 등)

대학의 연구거점 구축과 기술개발연구인력 양성을 위해 지역 내 3D 프린팅 융합기술센터, 미래자동차 연구소 설립운영

지역혁신

친환경, 스마트화라는 제조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여 자동차, 조선해양, 석유화학 산업의 산업구조 고도화

실무역량 위주 온라인 교육 플랫폼인 울산 이노베이션 스쿨 및 ICT 이노베이션 스퀘어 등을 조성하여 지역특화 실무인재 양성

협 업

지역 산업 생태계 혁신을 위한 지역혁신 플랫폼을 조성하여 유연성과 개방성을 가진 교육혁신을 주도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원자력혁신센터 지원 등 산업육성 및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초광역대학협력기반 구축

세종시

대학혁신

국내 최초의 신개념 공동캠퍼스를 조성하여 AIBIET 분야 대학 중점 유치를 통한 융복합 전문인력 양성

-대학-공공기관-지역산업체간 컨소시엄 구축을 통한 현장밀착형 교육인프라 구축 및 지역인재 공동양성기반 조성(고려대 자율주행 모빌리티 연구소 신설 및 미래모빌리티학과 개설 준비)

지역혁신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자동차, 첨단신소재부품 등 지역혁신전략 산업분야별 대학-기업 간 연계협력 강화

지역 창업수요에 적기 대응하기 위한 세종창업키움센터를 운영하고 대학생 고용 증대를 위한 대학일자리센터 운영

협 업

통합 지역인재 채용설명회 추진 및 정보 공유 등 충청권 취업확대를 위한 공동 노력 강화 및 지역 정주 유도

강원도

대학혁신

K-CLOUD PARK, 스마트 토이 조성 등 지역전략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도내 SW 융합인력 양성을 위한 SW 중심대학 지원사업 추진

디지털 헬스케어산업에 특화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지역 인프라(지자체-대학-공공기관)를 활용실무학습 및 융합보완 교과목 개편신설

지역혁신

강원도 지역혁신성장계획에 따라 6대 핵심분야 육성을 위한 맞춤형 기업역량 강화 및 성장단계별 기술/사업화 지원 추진

핵심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지역산업맞춤형 인력양성사업추진 및 대학-지자체-산업체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연구개발 및 인재 채용

협 업

지역혁신플랫폼 구축에 필요한 기반 마련

지역별산업별 인력수급 전망에 따른 지역대학 간 관련 학과별 공조체제를 구축하고 지자체+중심대학+협력대학 연합 프로젝트 추진

충청

북도

대학혁신

충북지역 핵심산업(바이오 ICT 융합분야, 화장품 뷰티) 맞춤형 교육 훈련 프로그램 및 취업 연계 지원 등을 통해 고급인력 집중 양성

오송 바이오 캠퍼스와 연계한 R&D 교육과정을 통해 생명공학 등 분야별 맞춤형 인력 양성

지역혁신

도내 바이오 관련 중소기업에 지역 청년의 취업을 지원하는 충북인재 지역안착 프로젝트 추진 및 충북전략산업분야 기업의 석박사 청년 취업 지원

중소(중견)기업 미혼 청년근로자 및 청년농업인의 초기 목돈형성을 지원하여 장기근속 및 복지향상을 지원하는 충북행복결혼공제 지원

협 업

충북 바이오헬스 산업 원스톱 플랫폼, 학술교류취창업 네트워크 구축 및 기업 수요조사 및 컨설팅을 추진하는 지역혁신 플랫폼 운영

충청

남도

대학혁신

대학 내 산학협력 단지를 조성하고 융합 바이오 기업을 대학 내 유치, 대학과의 공동연구 및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

도내 대학을 충남학 거점대학으로 선정하여 지역주민의 도민으로써 정체성 및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만성적 간호인력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간호장학사업지역인재육성지원사업연계 추진

지역혁신

그린-디지털 분야 스타트업 혁신 기업 지원 인프라와 도시 재생을 통한 주거 문화 환경 개선을 결합한 스타트업 파크 복합형 “INNOST” 조성

천안아산 R&D 집적지구에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상용화 제품 기술개발 및 지원센터 구축

협 업

대전세종충남 대학 연구소 TP, 기업 등 지역혁신주체들의 협업으로 미래 모빌리티분야 육성을 위한 지역혁신 플랫폼 구축 추진

충남대학 지역인재 육성지원협의회 정례 운영으로 현안과제 정책수립 지원

전라

북도

대학혁신

새만금 신재생에너지산업 전문인력양성센터를 지원하여 태양광 및 풍력 발전설비 구축 및 기업 인주에 대응하는 지역인재 육성

전문화 및 체계화된 스마트팜 교육 운영을 위한 스마트팜 청년창업보육센터운영 한국농수산대학 내 품목별 현장중심 기술경영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전문 농업인력 양성

지역혁신

지역대학 식품계열 학생의 식품가공분야 실습과 견학을 통한 창업능력 향상을 지원하고 초기 창업기업에 사업화 자금 지원

전북농업마이스터대학 운영으로 고급기술과 전문능력을 갖춘 농업마이스터 양성

협 업

전라북도 농생명연구협의체를 운영하여 참여기관 간 기술정보 교류 및 분야별 융복합 공동 R&D 과제 발굴

전라북도 지역인재 채용 협의회 지역인재 육성지원협의회 운영

전라

남도

대학혁신

미래산업 연구인재, 중화권 전문인재, 전남 스타 100, 이공계 진로체험 등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나갈 글로컬 인재 발굴

지역혁신

전남 6대 전략산업(블루이코노미)와 지자체-대학 지역혁신사업(2대 핵심분야)으로 미래성장 동력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 연계

블루 이코노미 6대 핵심분야의 핵심기업 청년 일경험 지원

협 업

지자체-대학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을 통해 초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전라남도, 광주광역시 15개 대학, 30개 지역혁신기관 참여)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지역인재채용협의회 운영

경상

북도

대학혁신

경북 소프트웨어 인재양성 및 오픈뱅크 운영, 지역 ICT 이노베이션 스퀘어 지원 등을 통해 경북형 뉴딜을 이끌어갈 맞춤형 인재양성 지원

기업수요 맞춤형 인재양성 프로젝트”(HuStar)를 추진하여 실무중심 교육+ 기업인턴 근무연계를 지원하는 분야별 혁신 아카데미 운영

인공지능 핵심기술 및 고도 학술연구를 통해 AI 박사급 인재양성(포스텍 AID 인재: 국제 공동연구 및 글로벌 인턴십 통해 AI 고급인재 양성)

지역혁신

신재생에너지 보급, 신재생에너지산업 생태계 조성 및 R&D 기반 구축 등 그린뉴딜 신재생에너지 산업 클러스터 조성

산업인공지능분야 핵심기술 석박사 융합교육과정 운영 등을 통해 인공지능 활용 융복합형 신산업 전문인력 양성

협 업

경상북도 지역발전을 위한 대학과의 협력 조례제정시행(‘21.1.)

기업 맞춤형 취업연계 프로그램 운영 및 융복합 연계전공 운영, 현장 교육 등 대학-공공기관-지자체 인프라 공동 활용 기반 구축

경상

남도

대학혁신

경남형 공유대학 USG”를 통해 공동 교양과정 및 대학 간 연계를 통한 복합형 전공을 운영하고, -석사 연계-현장연계 Lab 운영(스마트 제조 엔지니어링 분야, 스마트 제조 ICT, 스마트 공동체 분야)

드론 활용서비스 산업 교육기반 확립을 통해 드론 플랫폼 구축, 드론교육 콘텐츠 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구축 지원

지역혁신

스마트 제조엔지니어링육성을 위해 산학연관 협력형 제조혁신 인력수급 플랫폼을 구축하고 해당 분야 기술개발 연구 지원

스마트 제조 ICT” 육성을 위해 ICT 기술개발센터 구축 빅데이터 공유 플랫폼 구축 확산

협 업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을 추진하여 지역발전 선순환 구조 구축

대학취업지원 위원회 연계 지방대학지역인재 육성지원 네트워크 구축

제주도

대학혁신

제주 산업 매칭형 문제기반 학습체계 구축을 위한 전담 센터를 지정하고 교육과정교과목 개발, 플랫폼 등을 운영 지원

신에너지산업스마트 그리드 산업 선도전문인력 양성 및 석박사급 고급인재 육성, 대학-산업체-연구원과의 연구 플랫폼 구축 지원

지역혁신

제주 빅데이터 센터 및 통합플랫폼 고도화를 통한 공공데이터 개방 추진 및 AI 기반 기능 확산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지원

디지털 뉴딜 기반 D.N.A 관련학과 대상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운영 지원 및 해양관광분야, 신규 항공산업분야 기반 조성을 위해 전문인력 양성 기관과 협업 네트워크 구축

지역 전략산업과 일자리 발굴을 연계한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인 일하는 청년 제주로 프로젝트를 통해 선취업 후교육 지원

협 업

제주도 사립대 관할권관련 제주형 지방대학 특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및 지원체계 개선 추진

온라인 디지털 전환 협업 플랫폼 구축을 위해 언텍트-온텍트 결합 교육서비스, 에듀테크 산업 확대, 클라우드 구축 등을 추진

 

2021년 3월 2일 발표

 

반응형
donaricano-btn donaricano-btn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